1. 줄거리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2022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1990년대 후반 IMF 외환위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청춘들의 꿈, 사랑, 우정, 성장 이야기를 담은 작품입니다. 김태리, 남주혁, 보나, 최현욱, 이주명이 주연을 맡아 청춘의 빛과 그림자를 섬세하게 그려냈습니다.
줄거리는 펜싱 선수로서 꿈을 키우는 고등학생 **나희도(김태리)**와 IMF로 인해 가족이 몰락한 청년 **백이진(남주혁)**의 만남으로 시작됩니다. 희도는 국가대표 선수를 꿈꾸며 끊임없는 도전을 이어가지만, 현실의 장벽은 그녀를 좌절시키기도 합니다. 반면 이진은 IMF로 가세가 기울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살아가다 기자로 성장하게 됩니다.
두 사람은 우연한 계기로 만나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며, 때로는 친구처럼, 때로는 연인처럼 함께 성장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두 사람의 사랑을 쉽게 허락하지 않습니다. IMF라는 거대한 사건과 각자의 진로, 꿈, 책임감은 두 사람을 엇갈리게 합니다.
이와 함께 펜싱 라이벌이자 친구가 되는 고유림(보나), 순수하고 따뜻한 성격의 문지웅(최현욱), 쿨하면서도 당찬 **지승완(이주명)**의 이야기가 곁들여지며, 5인방의 청춘 서사가 입체적으로 전개됩니다. 결국 드라마는 사랑의 완성보다는 청춘의 불완전함을 보여주며, "스물다섯과 스물하나"라는 특정한 시간 속에서만 존재했던 반짝이는 청춘의 기록을 남깁니다.
2. 인물분석
나희도 (김태리 분)
- 배경: 고등학교 펜싱 선수. 어릴 적부터 펜싱에 매진했지만 팀이 해체되며 큰 시련을 겪음.
- 성격: 밝고 긍정적이면서도, 집요할 만큼 꿈을 향해 도전하는 인물. 좌절 속에서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강인함을 지님.
- 서사: 라이벌 고유림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진정한 스포츠맨십을 배우고, 백이진과의 만남을 통해 사랑과 성장의 의미를 깨닫게 됨.
- 의미: 김태리는 희도의 캐릭터를 생동감 있게 표현해, 많은 시청자들에게 "청춘의 얼굴"로 기억되게 함.
백이진 (남주혁 분)
- 배경: IMF로 집안이 몰락한 청년.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다 언론사 기자로 성장.
- 성격: 책임감 있고 따뜻하지만, 현실 앞에서는 고민과 갈등을 겪는 인물.
- 서사: 희도와 만나 사랑을 키우지만, 기자로서의 윤리와 현실적 한계로 인해 결국 사랑을 지키지 못함.
- 의미: 남주혁은 이진의 따뜻함과 고뇌를 현실적으로 표현해 큰 호평을 받음.
고유림 (보나 분)
- 배경: 국가대표 펜싱 선수. 희도의 라이벌이자 친구.
- 성격: 자존심이 강하고 냉정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외로움과 불안이 존재.
- 서사: 처음에는 희도와 대립하지만, 서로를 인정하며 우정을 쌓아감. 러시아 유학 후에도 희도와의 우정은 그녀의 삶을 지탱하는 중요한 힘이 됨.
- 의미: 단순한 라이벌을 넘어 ‘성장하는 청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
문지웅 (최현욱 분)
- 배경: 자유분방한 성격의 만화가 지망생.
- 성격: 따뜻하고 낙천적이며,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함.
- 서사: 지승완과의 풋풋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청춘의 또 다른 단면을 보여줌.
- 의미: 청춘 드라마 속 밝음과 설렘을 담당하며 시청자들의 큰 사랑을 받음.
지승완 (이주명 분)
- 배경: 방송반 활동을 하는 고등학생.
- 성격: 당당하고 솔직하며,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은 인물.
- 서사: 학교 부조리에 맞서 싸우며 성숙해지고, 지웅과의 로맨스를 통해 청춘의 설렘을 보여줌.
- 의미: 드라마가 단순 로맨스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까지 담아내도록 이끄는 캐릭터.
3. 촬영장소
드라마는 1990년대의 감성을 담아내기 위해 다양한 실제 촬영지를 활용했습니다.
- 강원도 삼척·동해
- 희도와 이진의 주요 데이트 장면이 촬영된 바닷가. 바다의 푸른 풍경이 두 사람의 사랑과 청춘을 상징적으로 담아냄.
- 전라북도 군산 시내 거리
- 90년대 분위기를 잘 살릴 수 있는 군산의 구도심에서 촬영. 학교와 골목 장면에 자주 등장.
- 경기도 파주의 학교 세트장
- 희도와 유림이 속한 고등학교 장면 촬영. 실제 90년대 교정을 재현해 향수를 불러일으킴.
- 서울 성북동 일대
- 이진이 기자로 활동하며 뛰어다니는 장면, 희도의 집 주변 배경 촬영지. 현실적이고도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냄.
- 부산 해운대와 광안리
- 주요 회상 장면과 여행 장면의 촬영지. 바다 풍경이 드라마의 감수성을 배가시킴.
4. 시청자반응
국내 반응
- 방영 당시 시청률 10%를 돌파하며 케이블 드라마로서는 매우 높은 성과를 기록.
- 청춘들의 성장과 좌절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얻음.
- 결말 부분에서 희도와 이진의 사랑이 이어지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이 많았으나, “현실적이고 여운 있는 결말”이라는 평가도 공존.
해외 반응
-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동시 공개되어 글로벌 팬덤을 형성.
- 특히 일본, 동남아시아, 남미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90년대 감성과 한국 청춘 드라마의 매력"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됨.
- 김태리와 남주혁의 연기력이 해외 팬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김.
비평적 평가
- 장점: 시대적 배경을 활용한 감성적인 연출, 배우들의 호연, 청춘의 현실적 고민을 담은 스토리.
- 단점: 후반부 전개가 다소 늘어졌고, 결말이 호불호를 강하게 나눔.
- 총평: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청춘의 빛과 그림자를 사실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 시간이 지나도 회자될 명작 청춘 드라마.